Ctrl + F해서 궁금한 용어 서치해서 사용하세요!
데이터 전처리 : 데이터를 분석 및 처리에 적합한 형태로 가공하는 것으로, 데이터의 품질을 올리는 일련의 과정을 말한다.
로그 분석 (Log Analysis) : 사이트에 접속한 이용자의 방문수, 체류시간, 접속 경로, 페이지 뷰 등 정보를 추출하고 분석하는 서비스를 말한다. 로그분석을 통해 향후 마케팅 방향 전략 수립, 페이지의 구조 변경 리뉴얼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.
노출 (Impression) : 광고 노출 횟수. 광고가 한 번 노출될 때마다 카운트를 한다.
체류시간 (DT, Duration time) : 고객이 사이트에 접속하여 접속을 종료할 때 까지의 시간을 말한다. PV와 함께 고객 추성도를 가늠하는 지표로 활용한다.
어뷰징 (Abusing) : 포털사이트 내에서 클릭수를 조작하는 행위를 말한다.
퍼널 (Funnel) : 퍼널의 본 의미는 "깔대기"이며, 마케팅에서 퍼널은 잠재고객을 해당 서비스로 유입하여 최종적으로 결제하는 액션을 취하게 하는 모델을 의미한다.
획득 (Acquisition) : 신규 고객이 생기는 것을 의미한다. 획득의 기준은 사업에 따라 방문, 다운로드, 회원가입, 결제 등으로 설정할 수 있다.
도달률 (Reach) : 광고 및 콘텐츠의 특정 메시지가 고객에게 최소한 한 번 노출된 퍼센테이지 혹은 이용자의 수를 말한다. 한 고객에게 1회 이상 메시지가 노출되더라도 1 번으로 계산한다.
이탈율 (Bounce Rate) : 고객이 특정 사이트를 방문한 뒤, 다른 페이지로의 유입 없이 한 페이지만 보고 나가는 경우를 반송수라 한다. 이 경우에서 반송수/방문수*100 즉, 방문수 대비 반송수의 비율을 이탈율이라고 한다.
핵심 성과 지표 (KPI, key performance indicatiors) : %로 표기하며, 비즈니스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설정하는 지표이다. KPI의 대표적인 지표로 NPS(고객 충성 지표, net promoter score), 기간 별 트래픽 지표가 활용되기도 한다.
PV (Page View) : 이용자가 사이트에 방문하여 유입된 페이지 수를 말한다. 한 명의 이용자가 여러 페이지를 열람할 수 있기 때문에 수치는 방문자수와 같거나, 방문자 수보다 높다.
UV (uniqiue Visitor) : 이용자가 사이트에 방문한 수를 말하며, 중복 방문을 제외한 수치이다.
전환 (CVS, conversion) : 방문, 제품 구매, 회원 가입, 앱 다운로드 등, 고객이 광고주가 의도한 기대 행동을 취하는 것을 말한다. 고객 참여의 결과를 측정하는 가장 주된 지표이며, 전자상거래 업종은 주로 결제를 전환으로 잡는다. CVR(Conversion rate)는 유입된 고객 수 대비 매출 비율로, 전환수 / 유입수 *100으로 계산할 수 있다.
전환 단가 (CPA, Click per Acqusition) : 고객이 광고주가 원하는 특정 행위 전환을 했을 때 드는 총 비용을 말한다. 즉, 고객이 첫 번째 터치포인트부터 전환에 이르기까지 판매 유입경로로 이동하는 데에 드는 비용을 일컫는다. 마케팅 목표에 따라 회원가입, 다운로드, 이벤트 신청, 구매 등의 액션을 목표로 할 수 있다.
CPM (cost per mille) : 광고비 책정 방법 중 하나로, 광고가 1000번 노출 됐을 시 금액을 의미한다. (EX. CPM =1000원 인 경우, 1000번 노출 당 1000원이므로 1번 노출에 1원) 일반적으로 CPM이 낮을 수록 비용 대비 저렴하다. 계산 방법은 광고비/노출수*1000
CPC (cost per click) : 광고비 책정 방법 중 하나로, 광고 노출량과 무관하게 클릭이 한 번 발생할 때마다 과금되는 방식이다. CPC가 낮을 수록 일반적으로 비용 대비 많은 유입이 있다고 할 수 있다.
CPI (cost per insallation) : 광고비 책정 방법 중 하나로, 어플리케이션 설치 건당 과금되는 방식을 말한다. 광고주 입장에서는 비용 내 설치 수를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.
CPV (cost per View) : 광고 시청당 비용을 뜻한다. 일정 시간 광고를 시청해야 과금되는 방식이다.
CPS (Cost per sale) : 광고비 책정 방법 중 하나로, 판매가 될 때 과금되는 방식이다. 광고비가 높은 편에 속한다.
CPP (Cost per peiod) : 기간제 광고로 기간을 기준으로 과금하는 방식이다.
CPT (Cost per Time) : 시간을 기준으로 과금하는 방식이다. 특정 시간 대에 유저 타겟팅을 하여 광고를 집행할 때 사용할 수 있다.
CTA (Call to Action) : 소비자의 반응을 유도하는 요소 또는 행위 (배너, 문구, 버튼 등)를 말한다. 전환의 개선을 도울 수 있다.
CTR (Click Throug Rate) : 광고 노출 대비 유저가 클릭한 비용을 말한다. 클릭률이라고도 한다. (클릭 횟수 / 광고 노출 횟수) *100 or % 로 구할 수 있다.
광고 수익률 (Roas, Return on Ads Spending) : 지출한 광고비 대비 발생한 매출로, 마케팅에서 중요한 핵심 지표 중 하나로 꼽힌다. 해당 광고 매출/ 광고 비용 *100으로 계산할 수 있다. 이때 매출은 순익이 아닌 매출 대비 금액이기 때문에 100%가 나온 경우 적자일 수 있다.
투자 대비 수익률 (ROI, Return On Investment) : 투자 비용 대비 얼마만큼 순수익을 얻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. ROI가 크면 투자액에 비해 이익이 크다고 할 수 있으며, 순수익 / 투자비용 *100으로 계산할 수 있다.
검색 엔진 최적화 (SEO. Search engine Optimization) : 특정 키워드를 검색시 상위 노출이 되도록 최적화를 시키는 작업을 말한다.
소셜미디어 최적화 (Social media optimization) : 검색 엔진 마케팅으로, 소셜미디어 채널을 알리기 위해 RSS피드를 추가하거나, 콘텐츠 공유 버튼을 추가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.
오가닉 트래픽 (Organic Trafic) : 자연 유입 트래픽으로, 검색 엔진을 통해 유입되는 등, 광고를 제외하고서 유입된 웹사이트 방문자 수를 의미한다.
eSPM(effective cost per mile) : 광고 노출이 효과적이었는지 비교하는 방법으로, 광고 수익/ 노출수 *1000으로 계산할 수 있다.
일별 활동 사용자 (DAU, daily active user) : 하루 동안 서비스를 이용한 순수 이용자의 수를 뜻한다. 서비스마다 집계를 하는 시점이 다르며, 한 명이 하루 여러번 서비스를 이용하더라도 수치는 1로 기록한다. 동시 접속자와는 다른 의미이다.
월별 활동 사용자 (MAU, monthly active user): 한 달 동안 서비스를 이용한 순수 이용자의 수를 뜻한다.
순간 동시 접속자 (MCU, maximum current user) : 실시간으로 동시 접속한 이용자의 수를 의미한다.
'Market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아이디어 불패의 법칙, 시장 호응 가설 (0) | 2023.03.01 |
---|---|
[Growth Hacking] 성장방정식, OMTM, NSM, JTBD, 아하모먼트 (0) | 2023.03.01 |
1 pager proposal / 효율적인 기획서 작성법 (0) | 2023.02.16 |
댓글